도솔채널

도로 위 숨은 위험, 블랙아이스란?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 도로가 평소보다 미끄럽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겉보기엔 마른 아스팔트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얇은 얼음막이 깔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도로 위에 얇게 얼어붙은 투명한 빙판을 ‘블랙아이스(Black Ice)’라고 합니다.
표면이 검게 얼어붙어 일반 도로와 구분이 어려워 ‘도로 위의 보이지 않는 빙판’으로 불리며, 미끄러짐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블랙아이스가 생기는 이유
블랙아이스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때, 낮 동안 녹았던 눈이나 비가 다시 얼면서 생깁니다.
특히 도로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나 매연이 얼음에 섞이면서 색이 검게 변하기 때문에
눈으로는 잘 구분되지 않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구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그늘진 도로
-다리 위나 고가도로, 터널 출입구
-산모퉁이나 곡선 도로 등 온도 변화가 심한 곳
이런 구간은 표면 온도가 낮아 쉽게 얼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속도를 줄이고 운전해야 합니다.

사고를 줄이는 운전 습관
블랙아이스 구간에서는 순간적인 조작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드럽고 여유 있는 운전 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1️⃣ 급출발·급가속·급제동·급회전 금지
이런 동작은 차량의 무게 중심을 흔들어 미끄러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브레이크는 나누어 밟기
차가 미끄러질 때 브레이크를 한 번에 세게 밟으면 제동이 되지 않고 통제력을 잃기 쉽습니다.
여러 번 나누어 천천히 밟는 것이 좋습니다.
3️⃣ 핸들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조향
차가 미끄러질 때 본능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돌리면 오히려 스핀현상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차량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돌려 중심을 잡아야 합니다.
4️⃣ 차간 거리 확보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제동거리가 2배 이상 길어질 수 있습니다.
앞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하세요.

사고 후 나타나는 후유증, 방치하지 마세요
예기치 못한 교통사고를 겪으면 충격의 크기와 관계없이 몸속 근육과 인대, 신경이 긴장하게 됩니다.
그 결과 며칠 후부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이나 허리의 뻐근함, 통증
-두통, 어지럼, 불면, 집중력 저하
-소화불량, 피로감, 전신 무기력감
이러한 증상은 단순한 타박상이나 근육통으로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 직후에는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신체의 균형이 무너진 부분이 없는지 전문적인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조기 진단과 관리가 회복 기간을 단축하고, 만성화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